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건축단상_현재 Current 나의 현재 2000년 새로운 세기를 시작하는 지점에서 나는 오랜 뉴욕생활을 뒤로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2005년 현재까지 서울에 머무르고 있다. 1985년에 한국을 떠나 16년만의 귀환이었다. 기대와 두려움 속에 서울로 돌아와 정림건축에서 한국의 건축을 배우고 느끼게 되었고, 2003년 사회로 나와 지금까지 쉽지 않게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참으로 많은 사람들을 알게 되었고, 많은 일에 포함되어 나를 표현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하였다. 그리고는, 언제부터인지 나그네처럼 이곳 저곳을 기웃거리며 세상의 아웃사이더가 되어있는 나를 발견한다. 표류하고 있는 나를 경험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일정이 얼마나 지속될지는 모르지만 언젠가는 한국을 떠나게 될 것이다. 물리적인 ‘장소’의 변화이겠지만 나에게 ‘.. 더보기
건축단상_기념비와 상징성 Monumentalism & Presence 건축은 역사이래로 고대 오벨리스크나 피라밋으로부터 70년대 브뤼탈리즘 등을 망라하여 건축으로서의 상징성과 함께 권력자의 권위, 또는 종교의 위대함, 혹은 부의 상징으로 의미되었다. 또한 때로는 건축 외적인 장르로서 미학의 의미로 상징되는 왜곡의 역사였다. 의미되는 것과 기념비아전인수라는 말은 그 본말의 의미가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건축에서의 교육, 문화, 행정, 사회 등을 포함한 포괄적 의미를 총 망라해서 건축문화를 지켜보노라면 어쩌면 그렇게 딱 어울리는 표현일까 하는 조소를 금할 길 없다. 인류의 역사이래로 사람은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그러한 능력은 수많은 기념비적 조형물을 이 땅에 남긴다. 그러한 행위 때문에 사람.. 더보기
건축단상_ 건축을 디자인이라 부르는 교육 Architecture and Design 몇 일전 또 한 번의 학생 졸업전시회를 준비하면서 씁쓸한 마음을 금할 수 없어 저녁에 동료 선생님들과 술 한 잔으로 달랬다. 저녁 내내 이대로 가서는 이 나라 건축은 안 된다는 대화를 시작으로 현상공모는 이래서 안 되고, 건축교육은 이래서 안 되며, 건축제도나 법규도 이래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로 술잔을 가득 채우고 또 채웠다.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더욱이 많은 등록금을 내고도 저렇게 준비 안 된 상태로 졸업해서 떠나는 우리 학생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이런저런 푸념으로 오랜만에 사무실 문을 잠그고 식구들과 해운대로 출발하였다. 오래간만에 어릴 때의 추억을 떠올리면서 보기 싫은 해변가의 빌딩들을 피해 비치호텔 근처의 동백섬으로 발길을 돌렸다. 헌데 여기.. 더보기
건축단상_ 건축과 조화 Harmonisation 건축에 있어서 ‘조화Harmonisation’라고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또 그러한 관점에서 우리가 도시와 전원을 둘러보면서 이해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혹은 그 주체자 중 하나인 건축가들이 무엇을 이해하고 있는지 혹은 우리가 빠뜨리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너무 많은 내용을 제한된 지면을 통해 다 말할 수 없어 먼저 그 대상을 자연, 도시, 사람 그리고 건축 정도로 요약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건축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해본다. 굳이 앙리 시리아니Henri Ciriani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건축에 있어 그 공공성을 강조함은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건축은 의도된 것이고 이러한 생각과 더불어 아이디어가 있는 의도를 우리는 건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더보기
건축단상_ 보이지 않는 건축 Atchtecture of Absence presence pres·ence [prezns] n. 1. 존재, 현존, 실재 (實在) 2. 출석, 임석, 참석(opp. absence) ; (군대 등의) 주둔 Your ~ is requested. 참석하시기 바랍니다 3. a [the ~, one's ~] 면전, 목전, 남이 있는 자리 … absence ab·sence [æbs∂ns] n. 1. 부재(不在) ; 불참, 결석, 결근(opp. presence) ((from)) mark the ~ 출석을 부르다 several ~ s from school 수 차례의 결석 2. [또는 an ~] 없음, 결핍(lack) ((of)) … 소리 없는 음악, 움직임 없는 춤일전에 저는 가수 한영애가 어느 인터뷰에서 “최근 노래.. 더보기
건축단상_ 공공의 이름으로 Under the Name of Public 공중public 라틴어의 푸블리쿠스(publicus : 인민)에서 온 퍼블릭public의 역어이다. G. 르봉이 근대사회의 인간을 비합리적·충동적 존재로 보고, 미래사회를 ‘군중의 시대’로 본 데 대해서 J. 타르드는 인간을 합리적·독립적·자유적 존재로 파악하면서 미래를 ‘공중의 시대’로 보았다. 19세기에서 공중은 이처럼 군중과 대립된 개념으로 규정되었다. 군중은 사람들이 동일장소에 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데 대해서, 공중은 분산하여 존재하며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자유로이 자기 의견을 말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군중은 사태에 대해서 감정적으로 반응하고 이른바 군중심리에 따라 움직인다고 본 데 대해, 공중은 저마다 자유롭고 독.. 더보기
건축단상_ 집이 없는 집들이에 가다 Home on the Move 요즈음 전에 없이 많은 주변 사람들이 집을 짓고 집을 꾸미느라 열을 내고 있다. 처음엔 비교적 젊은 세대들에 국한된 현상인 듯하더니, 요즘은 부지런한(?) 장년층에게까지 이 열기가 확대되고 있는 듯하다. 어느 날 오후, 아는 문화기획자 한 분으로부터 집들이를 한다는 뜬금없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그리고 그 사람을 아는 주변 사람들이 적어도 백 명은 방문을 하여 축하 인사를 나누었다. 모두 따로, 또, 같이. 그의 집은 싸이월드라는 나라의 미니홈피라는 도시에 있다. 집이 없는 집들이에 갔다. 여느 집들이는 음식 냄새와 분주한 소란, 낯선 느낌과 호기심이 교차하는 그런 공감각적인 체험이었을 것이다. 한 시간, 한 장소에 모이는 그러한 집들이와는 다르게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들이는.. 더보기
건축단상_ 디자인 툴의 통합화와 직능의 분업화 Convergence of Design Tool & Division of Professional Career 다른 어느 때보다도 시간의 변화가 빠르게 느껴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것도 그 변화의 폭을 어느 정도까지 수용해야 할 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이 순간, 우리가 고민하는 시간마저 무색하게 만들어 버릴 정도로 빠르게 말이다. 고민의 내용은 아주 간단하다. 다소 검증되지 않은 새로운 변화의 불확실성을 따라갈 것인가 아니면 현재의 기저 또는 안정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중간은 하자라고 결정할 것인가 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어떠한 결정을 내리든 불안하기는 매한가지이다. 이러한 상황은 한 개인으로부터 시작하여 거대한 조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로하신 필자의 부모님은.. 더보기
건축단상_ 브랜드 건축 Branding in Architecture 현대 정보 산업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매일매일 쏟아지는 광고와 새로운 제품 앞에서 항상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점심 시간에 오늘은 무엇을 먹을까라는 선택의 상황이 즐거운 사람과 괴로운 사람의 차이는 아마도 식사에 대한 자신의 계획과 개념이 어느 정도 명확한가 아닌가의 차이가 아닐까 싶다. 예를 들면 체지방을 줄이기 위해 이러이러한 식의 음식을 주로 먹는다라는 웰빙 개념이라든가 아니면 저녁은 푸짐하게 먹고 점심은 간단하게 해결한다라는 식의 패턴화라든가 하는 것들이 수많은 선택 조건 상황 하에서 어느 정도의 선별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물론 필자와 같이 식사에 대한 특별한 개념도 없고 주변 상황으로 인해 선택인자 자체가 부재(?)하여 점심시간이 매우 괴.. 더보기
길이란 무엇인가. 길은 공간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머무름이 아닌 움직임의 공간 이다. 움직임은 속도를 동반하고 속도의 빠름과 느림에 의해서 주변의 공간들이 다르게 인식된다. 또한, 면적의 분할 이다. 길로 인해 나누어지고 경계지어진다. 길은...권력이다. 의도적으로 계획되어진 길은 사람들로 하여금 방향을 제시하고 이탈을 부정한다. 사람들을 통제하고 유도한다. 사람들은 그 흐름을 따라 움직인다. 길은 자유이고 투쟁 이다. 지속적으로 움직임을 부여하는 길에서는 이탈에 대한 투쟁에 대한 미래에 대한 치열함이 담겨져 있다. 역사적으로 그러했고 현재 또한 그러하다. 길거리 행진에 의해서 민주주의를 외쳤고, 투쟁하였다. 길은 두방향만 제시 한다. 직선으로 뻗은 길에서는 오직 두가지 방향만을 제시할뿐이고 교차된 길속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