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단위이야기 단위 이야기▶ 우리나라의 길이척도길이를 재는 고유한 단위가 자(尺)이다. 보통 한 자는 10치(寸)이고 치의 1/10을 푼(分)이라고 한다. 치(寸)는 손가락 한마디를 기준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건축에 주로 사용되는 척도는 영조척이었다. 삼국시대에는 고려척이, 통일신라시대에는 당척과 주척이 주로 이용되었다. 영조척은 건축과 토목, 조선 및 조차(造車) 등 건축물이나 조영물을 만들 때 사용된 척도이다. 영조척은 명나라에서 사용되던 척도로 조선시대에 주척(周尺)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영조척은 세조12년(1466)에 31.22cm로 통일되었는데 이후로 점차 줄어들어 광무6년(1902)에 지금과 같은 30.30cm로 고정되었다. 곡척(曲尺)이라고 하는 것은 곡자를 이르는 말로 척도의 단위가 아니라 .. 더보기 이전 1 다음